꿈 해몽

삼성 서비스센터 언제 끝나나요? 몇시까지인가요? 영업시간, 토요일에 하나요?에어컨냉장고/김치냉장고세탁기/건조기/에어드레서모바일TVPC/모니터프린 본문

카테고리 없음

삼성 서비스센터 언제 끝나나요? 몇시까지인가요? 영업시간, 토요일에 하나요?에어컨냉장고/김치냉장고세탁기/건조기/에어드레서모바일TVPC/모니터프린

Thogson 2023. 11. 16. 06:54
반응형

표준 운영시간

    • 월 ~ 금 (평일) : 09:00 ~ 19:00 / 혼잡 시간대 : 월~금요일 10시 ~ 13시* 일부 센터 제외(삼성강남, 울릉도 - 센터 상세 정보를 통해 자세한 운영시간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토요일 : 09:00 ~ 13:00 (일요일 · 공휴일 : 휴무) / 혼잡 시간대 : 토요일 10시 ~ 13시
    평일은 제품 점검 시간을 고려하여 18시까지 방문을 부탁드립니다.
    토요일은 방문고객 혼잡도에 따라서 당일 수리 및 액정 보호필름 부착 여부가 다를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센터 방문 전, 꼭 확인해 주세요!
    • 액정 보호필름 부착 서비스는 센터별 상황에 따라 일찍 마감이 될 수있는 점 양해바랍니다.
    • 휴대폰 액세서리 서비스는 액세서리 구매 영수증 또는 해당 휴대폰을 반드시 지참해 주세요.
    • 휴대폰 잠금 해제를 위해 방문 시 필요 서류를 꼭 발급하여 방문해 주세요.
    • 부품 구입을 위해 방문 시 모델명 확인 후 1588-3366으로 부품 예약을 해 주시면 재방문하는 불편이 없습니다.

삼성 A/S CENTER
번호지사지점센터명대표전화주소

1서울강남강남센터02-545-2076서울 강남구 청담동 92-3 디지털프라자 2층
2논현애니콜센터02-549-1982서울 강남구 논현동 50-1번지(구 세라빌딩) 논현빌딩 6층
3관악관악센터02-871-0143서울 관악구 봉천동 931-5번지 삼성디지털센터 2층
4금천센터02-961-1946서울 금천구 독산동 1008-2 디지털프라자 3층
5낙성대애니콜센터02-887-6115서울 관악구 봉천동 1659-5번지 경동제약빌딩 7층
6남인천남인천센터032-464-0242인천 남동구 만수동 1072-2 디지털프라자 3층
7동인천센터032-867-6238인천 남구 도화동 534-5번지 삼성전자서비스 2층
8연수애니콜센터032-816-8122인천 연수구 청학동 496-4번지 연수광장프라자 2층 (시너스건물)
9노원노원센터02-933-4487서울 노원구 상계1동 1049-36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0도봉센터02-992-5057서울 도봉구 쌍문2동 659번지 삼성디지털센터 2층
11태릉애니콜센터02-971-8865서울 노원구 공릉 1,3동 576-19번지 하이서울비링 2층 (공릉1동)
12동대문동대문센터02-2213-1574서울 동대문구 휘경동 75-1 삼성디지털센터 2층
13성북센터02-988-3073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81-356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4북인천부천센터032-323-2097경기 부천시 원미구 중3동 1058번지 3층
15북인천센터032-545-4135인천 계양구 작전동 866-10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6삼산애니콜센터032-507-1510인천 부평구 삼산동 464-2 엘림타워 4층
17역곡애니콜센터032-351-7193경기 부천시 소사구 괴안동 127-2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8청라센터032-563-2431~2인천 서구 연희동 793-9번지 삼성빌딩 3층 삼성전자 서비스
19서울지원선릉애니콜센터02-3452-2635서울 강남구 삼성동 143-48 대종빌딩 2층
20여의도애니콜센터02-784-7420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44-37번지 아일렉스타워 11층
21서초도곡애니콜센터02-2058-1921서울 강남구 도곡동 168번지 SK리더스뷰 1층
22서초센터02-598-9658서울 서초구 서초2동 1341-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3층
23역삼애니콜센터02-561-2654서울 강남구 역삼동 648-17번지 부옥빌딩 4층
24성동강변테크노센터02-3424-6903서울 광진구 구의동 546-4 테크노마트 6층 사무동 D04호
25성동센터02-464-0067, 8658서울 광진구 능동 315-18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26신촌애니콜센터02-313-3721~3서울 서대문구 창천동 29-81 르메이에르빌딩(제일은행) 지하1층
27왕십리애니콜센터02-2200-1500서울 성동구 행당동 168-1번지 왕십리 민자역사 3층
28종로애니콜센터02-732-9438서울 종로구 종로1가 24번지 르메이에르 5층
29송파강동센터02-487-8540서울 강동구 길동 453-1번지 디지털츠라자 3층, 4층
30송파센터02-3431-6861서울 송파구 송파동 147-6번지 디지털프라자 건물 2층, 3층
31천호애니콜센터02-477-0634서울 강동구 천호동 355번지 로석빌딩 3층
32양천강서센터02-2605-3326서울 강서구 화곡동 1064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33신도림테크노센터02-2111-8240서울 구로구 구로5동 3-25번지 신도림테크노마트 판매동 8층
34신정애니콜센터02-2601-9004서울 양천구 신정3동 1191-7호 욱성빌딩 4층
35양천센터02-3665-0750서울 강서구 염창동 277번지 삼성전자 염창사옥 1층
36영등포센터02-836-4322서울 영등포구 신길4동 4902-7 디지털프라자 2층
37은평마포센터02-706-9465서울 마포구 대흥동 3-30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38수색애니콜센터02-303-1220서울 은평구 수색동 72-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39은평센터02-358-8092서울 은평구 불광동 251-2번지 삼성전자 불광사옥 2층
40중구삼선교애니콜센터02-925-5982서울 성북구 동소문동4가 75-2번지 오델리아 웨딩부페 2층
41서울하이테크02-706-5659서울 용산구 원효로3가 51-31 전자랜드 별관 2층
42용산센터02-756-3783서울 용산구 갈월동 14-60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43중앙센터03-3371-1676서울 동대문구 신설동 92-27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44경기경기지원수지센터031-276-6818경기 용인시 수지구 풍덕천2동 1080-2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45동수원남수원애니콜센터031-222-3957경기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015-3번지 마라톤빌딩 4층
46동수원센터031-217-7733경기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 293-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47동탄센터031-8015-3680경기 화성시 석우동 43번지 세정인디안빌딩 2층
48분당김량장애니콜센터031-336-7263,4경기 용인시 처인구 김량장동 27번지 디지털프라자 건물內
49미금애니콜센터031-702-1165경기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157번지 잼월드빌딩 4층
50분당센터031-708-7015경기 성남시 분당구 서현동 262-1 삼성전자 분당사옥 3층
51용인센터031-283-8104경기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692-2번지 1층 (이마트 트레이더스 건너편)
52서수원남양애니콜센터031-831-3914경기 화성시 남양동 1172-22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53발안애니콜센터031-8059-6641경기 화성시 향남읍 행정리 395-2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54북수원애니콜센터031-248-9940경기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451-3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55서수원센터031-242-0185경기 수원시 장안구 정자2동 76-8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1,2층)
56오산애니콜센터031-668-3410경기 오산시 고현동 22-1번지 디지털프라자 1층
57평택센터031-618-9272경기 평택시 세교동 406-3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58성남경기광주센터031-797-3396경기 광주시 탄벌동 126-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59구리센터031-568-1931경기 구리시 인창동 701-2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60금곡센터031-595-0988경기 남양주시 금곡동 430-11번지 삼성디지털센터 1층
61성남센터031-759-6041경기 성남시 수정구 수진동 4534번지 3층
62이천센터031-634-1534경기 이천시 증포동 156-16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63진접애니콜센터031-575-5360~1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연평리 142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64안산고잔센터031-403-3365경기 안산시 단원구 고잔동 725-5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65광명센터02-2681-0875경기 광명시 소하1동 1340-4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66시화애니콜센터031-499-3063경기 시흥시 정왕동 1622-5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3층
67안산센터031-482-0436경기 안산시 단원구 선부동 1070-4번지 삼성디지털건물 2층
68안양군포센터031-391-2711경기 군포시 당동 920-5번지 3층
69서안양센터031-441-1040경기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621-1번지 삼성전자 리빙프라자 3층
70안양센터031-422-3054경기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131-5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71의정부금오센터031-840-7201~2경기 의정부시 금오동 215-4번지
72양주센터031-865-2599경기 양주시 덕계동 448-7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73의정부센터031-876-3250경기 의정부시 의정부3동 370-4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74일산고양센터031-962-4094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984-2 삼성디지털센터 3층
75김포센터031-985-3590~1경기 김포시 사우동 384-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76일산센터031-918-5382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736-3번지 M3빌딩 3층
77파주센터031-945-0254경기 파주시 금능동 199-50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78중부동대전동대전센터042-628-4323대전 대덕구 중리동 126-1번지 삼성디지털센터 2층
79중대전센터042-536-3331대전 중구 오류동 168-7번지 삼성디지털센터 3층
80서대전공주센터041-854-3365충남 공주시 신관동 586-3 삼성전자 디지털프라자 2층
81논산센터041-736-0162충남 논산시 취암동 375-6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82서대전센터042-480-1810대전 서구 둔산동 1361번지 디지털프라자 4층
83유성센터042-823-3434대전 유성구 봉명동 550-5번지 삼성전자건물 2층
84서산당진애니콜센터041-352-9338충남 당진시 읍내동 296-1 디지털프라자 3층
85서산센터041-666-3313충남 서산시 예천동 485-1번지
86홍성센터041-633-8896충남 홍성군 홍성읍 옥암리 1064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87영동강릉센터033-647-1631강원 강릉시 옥천동 172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88동해센터033-530-8023강원 동해시 천곡동 892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89속초센터033-530-6272강원 속초시 조양동 1500-1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1층
90태백센터033-552-8700강원 태백시 황지동 73-15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91영서원주센터033-742-9976강원 원주시 무실동 1725-4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92제천센터043-648-3339충북 제천시 청전동 50-9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93춘천센터033-261-5781강원 춘천시 온의동 116-15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94중부지원남대전센터042-544-8120대전 유성구 원내동 822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95천안두정센터041-522-4793충남 천안시 서북구 성정1동 439-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96아산센터041-547-3360충남 아산시 모종동 371-8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97천안센터041-575-6050충남 천안시 서북구 쌍용동 220-18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1층, 2층
98청주북청주센터043-217-1583충북 청주시상당구 사천동 8-4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99서청주애니콜센터043-237-1583, 9028충북 청주시 흥덕구 비하동 354-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00청주센터043-298-3315충북 청주시 흥덕구 산남동 488번지 삼성디지털센터 2층
101충주센터043-851-3366충북 충주시 봉방동 913번지 디지털 프라자 3층
102서부동광주남광주센터062-676-8770광주 남구 주월동 1264-1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103동광주센터062-525-0394광주 북구 두암동 573-1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04서광주나주애니콜센터061-333-0670전남 나주시 남외동 278-2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1층
105목포센터061-284-1383전남 목포시 상동 713-45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106상무센터062-952-4061광주 서구 마륵동 168-40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07서광주센터062-375-8312광주 광산구 신창동 507번지 덕영빌딩 2층
108해남센터061-534-8458전남 해남군 해남읍 고도리 477-2 디지털센터 2층
109서부지원첨단센터062-974-3160광주 광산구 쌍암동 694-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10순천순천센터061-725-6302전남 순천시 조례동 1034-1번지 삼성전자서비스 2층
111여수센터061-654-6820전남 여수시 문수동 49-1번지 보임빌딩 디지털프라자 3층
112익산군산센터063-467-5849전북 군산시 수송동 854-7 디지털프라자 3층
113익산센터063-836-0324전북 익산시 신동 768-2번지
114전주남원센터063-533-3343전북 남원시 향교동 178-1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15서전주센터063-227-2105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1가 410-2번지 단층건물
116송천센터063-253-3385전북 전주시 덕진구 송천동2가 529-4번지 3층
117전주센터063-245-2131전북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1가 462-7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18정읍센터063-532-6686전북 정읍시 연지동 328-1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19제주서귀포센터064-732-3365제주 서귀포시 동홍동 440-3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1층
120제주센터064-742-3342제주 제주시 연동 2331-3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21경북경북지원수성센터053-795-8633대구 수성구 노변동 19-4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22구미구미센터054-465-8638경북 구미시 광평동 78-3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123김천센터054-433-6083경북 김천시 신음동 998-2번지 1층
124문경센터054-556-6026경북 문경시 모전동 860-14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1층
125상주센터054-536-6362경북 상주시 남성동 84-17번지 삼성전자서비스 1층
126안동센터054-854-5380경북 안동시 옥동 741-5번지 디지털프라자 건물
127영주센터054-633-5659경북 영주시 가흥2동 1381-138번지
128남대구거창센터055-942-8828경남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 796-2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3층
129남대구센터053-651-6621대구 달서구 송현동 1039-1번지 성원빌딩 2층
130대곡센터053-643-1771대구 달서구 진천동 301-2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31송현센터053-651-3366대구 달서구 송현2동 635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32동대구경산센터053-794-0261경북 경산시 중방동 818-53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33동대구센터053-764-1422대구 수성구 황금동 550-1번지 디지털센터 3층
134방촌센터053-985-2109대구 동구 방촌동 1103-2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135서대구북대구센터053-341-8798주소
136서대구센터053-571-3362대구 달서구 감삼동 142-1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1,2층)
137성서센터053-592-3339대구달서구 이곡동 1258-9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38칠곡센터053-311-5272대구 북구 태전동 1074-2번지 디지털프라자 건물 2층
139포항경주센터054-773-2787경북 경주시 황성동 362-2
140영덕센터054-733-3070경북 영덕군 영덕읍 덕곡리 231-4번지 단층건물
141영천센터054-334-6266경북 영천시 금노동 564-4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1층
142포항센터054-231-7752경북 포하시 북구 우현동 72-7번지 삼성전자서비스 2층
143남부광안광안센터051-611-0103부산 수영구 남천동 48-1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44해운대센터051-702-8062부산 해운대구 중동 174-1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45구포구포센터051-330-3373부산 북구 덕천2동 382-11 삼성디지털프라자 1층
146김해센터055-335-8131경남 김해시 구산동 1080-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47밀양센터055-356-7505경남 밀양시 내이동 1571-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48사상애니콜센터051-342-7740부산 사상구 괘법동 532-7
149양산센터055-367-1908경남 양산시 신기동 531-4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50남부지원하단센터051-204-9343부산 사하구 하단2동 528-11번지 삼성전자사옥 4층
151동래금정애니콜센터051-518-0080부산 금정구 부곡동 216-13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152동래센터051-507-8360부산 동래구 사직3동 145-6번지 삼성전자서비스 2층(3층건물)
153부산진센터051-890-7212부산 부산진구 가야동 257-24번지 디지털프라자 4층
154서면애니콜센터051-804-9164부산 부산진구 부암동 123-6번지
155사하사하센터051-208-4430부산 사하구 괴정동 1122-1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56서부산센터051-257-3810부산 중구 남포동4가 15-3번지 디지털프라자 4층
157울산남울산센터052-260-4441울산 남구 삼산동 227-8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58동울산센터052-232-3002울산 동구 일산동 551-20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59울산센터052-246-4926울산 중구 약사동 666-4번지 디지털프라자 3층
160진주거제센터055-633-9417경남 거제시 양정동 966-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61사천센터055-833-0441경남 사천시 벌리동 70-6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1층
162진주센터055-745-8693경남 진주시 본성동 14-1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63통영센터055-648-5027경남 통영시 무전동 1068-15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2층
164창원도계애니콜센터055-273-1501~3경남 창원시 의창구 도계동 910-3번지 디지털프라자 4층
165마산센터055-251-2892,93,95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석전동 234-4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166진해센터055-547-4601경남 창원시 진해구 자은동 929-28번지 삼성디지털프라자 3층
167창원센터055-265-9114경남 창원시 성산구 상남동 7-2번지 디지털프라자 2층
성전자의 자회사이며 삼성전자에서 생산한 제품들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업이다.

애프터 서비스를 담당하기때문에 대한민국 전국 각지에 삼성전자서비스센터를 만들어서 삼성전자 제품의 수리를 담당하는데, 일부 서비스센터에서는 삼성전자 제품을 직접 팔기도 하는 유통 채널의 역할도 한다. 2013년 1월 일산신도시에 개장한 일산센터라든가 보통 삼성스토어와 같이 있으며 지점에 따라 휴대폰 A/S만 가능한 곳도 있다. 휴대폰 A/S만 가능한 곳은 '휴대폰센터'라는 이름이 붙는다.

1998년 삼성전자에서 서비스사업부가 분사했으며, 분사한 지 얼마 안 된 2000년 이후로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서비스가 합병한다는 떡밥이 매번 나오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매우 불투명하다.[1] 이와 비슷한 떡밥으로 주식시장 기업공개 떡밥도 있지만, 이 역시 매우 불투명하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2]에 있는 서비스센터는 사실상 본점 격이라고 봐도 된다. 실제로 '신설동센터'가 아닌 '중앙센터'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3]

삼성전자 멤버십 블루 U-포인트 선불카드로는 유상수리비 결제시 U-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센터에서 자재나 부품을 구입할 때에는 U-포인트를 사용할 수 없다.

2015년부터는 전사적인 경영합리화 조치에 따라 본사의 사무기구와 사무직원을 대폭 축소하고, A/S 센터도 거점-지역 방식으로 차등하여 거점만 직영으로 운영하고 그외의 지역 센터는 외주화하기로 했다. 이들 지역 센터는 삼성전자의 입장에선 밑도급의 밑도급, 즉, 재밑도급 관계가 된 것이다. 노조에서는 이런 조치가 노조 설립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실제 외주화되는 센터의 규모와 센터 인근의 인구 밀집도 등과 관계가 없다는 점[4]이 노조의 주장을 일부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기존 CS 프로의 업무 중 단순 사용법 상담 업무를 이관받은 갤럭시 컨설턴트 삼성스토어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삼성전자서비스 소속이 아닌 삼성스토어를 소관하는 삼성전자판매 소속이다.

SSD, SD 카드 등 저장장치 관련 서비스는 삼성전자서비스가 아닌 시머스라는 별도의 회사에서 운영하는 '삼성SSD전문센터'에 위탁되어 있다. 삼성전자서비스에 전화해도 저장장치 관련 상담은 불가능하며 070-8250-2646으로 연락해야 한다. 이들 제품을 삼성전자서비스 서비스센터에 가져가도 서비스가 거부되고 삼성SSD전문센터로 이관시켜서 처리해준다. 이렇게 메모리 관련 서비스가 분리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2. CI[편집]



3. 대표이사[편집]

  • 박찬원 (1999 ~ 2003)
  • 맹윤재 (2003 ~ 2005)
  • 장형옥 (2005 ~ 2009)
  • 방인배 (2009 ~ 2010)
  • 윤승철 (2010 ~ 2013)
  • 박상범 (2013 ~ 2016)
  • 최우수 (2016 ~ 2019)
  • 심원환 (2019 ~ 2022)
  • 송봉섭 (2022 ~ 현재)

4. 노동자 처우 문제[편집]

무노조 경영이었던 삼성에서, 2013년 7월 AS기사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노동조합을(민주노총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 공식 출범시켰다. 이들은 일단 삼성전자 서비스의 정직원이 아니었던데다가,[5] 규모도 이전에 삼성에서 시도되었던 노동조합들보다 훨씬 대규모 노동조합이었던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AS 기사들의 처우란 것이 정말 답이 없는 수준인데, 월급제가 아닌 건당 수수료제이며, 점심값은 커녕 점심 시간도 없고, 차량, AS 공구 어느 하나 지원해 주지 않는다. 각자 자비로 구매하고 유지비를 내야 한다. AS에 각별히 신경을 쓰는 삼성전자다 보니 AS평가 때 고객을 우선으로 한다. 무조건 10점이 나오지 않으면 호된 질타와 이에 따른 반성과 소명을 해야 한다고 한다. 고객이 평가를 8점을 줬건 9점을 줬건 똑같다. 무조건 10점 아니면 얄짤없다. 또한 2016년 1월 당시 LG전자서비스도 같은 상황이라고 하며 프로불편러나 악질 고객 한명 만나는 순간 서비스 기사들도 답이 없는 순간이다.

또한 본사에서 직접 고용하지 않고 외주 용역으로 고용하면서 직원 교육은 삼성전자서비스에서 직접 하며, 협력업체 사장은 '바지사장' 취급을 받았다. 위장도급제로서 명백한 근로기준법 위반이다. 이런 사례가 수도 없었다. 이렇게 노동환경이 시궁창이다보니 2013년 9월에 칠곡센터 AS기사 조합원이 출근하다가 피를 토하고 뇌출혈로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을 정도다. 삼성전자서비스 AS기사들은 롯데리아 알바, 롯데시네마 알바보다 일이 더 힘들고 못 벌어 노동 환경도 시궁창이라고 한탄까지 할 지경이다.[6] 그래서 보다 못해 노동조합을 설립했다고 한다.

주5일제 40시간 근무를 표방하고 있지만, 서비스업무 성격상 주5일이 안되며, 센터마다 차이가 있지만 5일 + 6시간 정도는 초과근무를 한다. 중요한 건 아침에 출근해서 퇴근하기까지 11시간 동안 센터에 박혀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즉, 센터의 엔지니어들은 하루 11시간씩 55시간 + 6시간은 기본으로 일을 하는 것이다. 연차든 월차든 간에 내가 쉬고 싶은 날 쉬어야 하는게 당연하나, 너무 바쁜 날 혹은 쉬는 사람이 3~4명 몰린 날 등은 쉬지도 못한다. 근로 시간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견이 있다. 최대한 근로시간을 늘려 돈을 많이 받고자 하는 사람이 있고, 돈보다는 자기만의 시간을 찾으려는 사람이 있어 근로자끼리 서로 의견이 갈리는 부분이기도 하다. 은수미 민주통합당 의원 등도 삼성전자서비스 측의 위장도급 의혹을 제기됐다.

은 의원의 위장도급 의혹 제기에 대해 협력업체 대표들은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사 경영자 생존대책위원회'를 조직하며 즉각 반박했고, 노조 설립 후 조합원들에 대한 압박은 끊이지 않았다. 천안센터에서 근무하던 최종범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발생했다.# 생활고와 노동조합을 한다는 이유로 가해진 수많은 압박을 못 이겨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인다. 최씨는 곧 돌을 앞두는 딸을 두고 세상을 떠나 주위를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2014년 3월에는 노동조합 조합원이 많다는 이유로 멀쩡하게 잘 굴러가던 해운대센터를 폐업시켜 버렸다. 반발이 심하자 이번엔 아산센터, 이천센터까지 또 폐업시켜 버렸다.[7] 기존에 해운대센터가 받던 콜을 차로 1시간 반이 넘게 걸리는 통영센터에서 콜을 받아 출장하는 애로사항이 꽃피는 웃지 못할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이렇게 상당히 노사관계가 막장으로 치닫고 있는 중인데, 이런 형국인지라 센터 폐업으로 인해 피해 본 노동자들이 싸워왔다.

2014년 5월 17일 또 한 명의 자살자가 발생했다. 양산센터 분회장 염호석으로, 양산시에서 멀리 떨어진 강원도 강릉시의 길가에서 숨진채로 발견되었다. 노조측은 이를 열사정국으로 규정하고 대규모 파업에 들어갔다. 그리고 장례를 치르는 과정에서 시신을 둘러싸고 경찰과의 대치와 시신탈취가 있었다. 비리경찰[8][9]

2014년 6월 28일, 단체협약이 체결되고 노동자들의 파업이 마무리되었다. 단체협약이 체결되었다는 것은 사실상 노조를 협상의 상대로 인정한 것으로, 무노조 경영을 76년 간 해 온 삼성에서 단체협약이 체결된 것은 이번이 최초이며, 그리고 노조 측에서 미뤄오던 염호석의 장례는 7월 2일 마무리되어 양산시 솥발산 열사묘역에 안장되었다.[10]

2014년 10월, 진주삼성서비스센터의 직원들이 대량 해고되는 사태가 또다시 발생해 수리노동자들은 서비스센터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A/S 업무는 본사에서 내려온 삼성이동수리버스 5대에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각에선 A/S를 외주에 맡겨놓고 책임을 지지도 않는 지금의 제도를 갈아엎지 않으면 계속 비슷한 일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다.

2018년 4월 삼성전자는 삼성전자서비스 엔지니어들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킨다는 내용을 발표했으나, 9월까지 수십차례에 걸친 사측과 지회의 협상테이블에서 의견이 타협되지 않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2019년 1월 1일부터 본사 직원 7,800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되었다. 7월 2일에 검찰은 노조 와해 공작에 삼성전자가 주도했다는 직원 진술을 공개했다.

2022년 현재 정규직 전환 된 삼성전자서비스 직원들은 대부분의 대기업과 같은 급여 및 복리후생을 누리고 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해고자 문제는 해결이 안되었고, 2022년 5월 14일 해고 노동자 중 한 명이 자살하였다.

연희동 드림서울치과의원
dreamteeth.co.kr
 
통합치의학과전문의, 평일 18시 30분까지, 연희교차로 브라운스톤 맞은편 위치
정직한진료 디자인스타치과의원
designstar.kr
 
치의학박사, 미국교정학회지 발표, 구강외과 전문의, 소아치과 전문의, 마포구치과
고은이(e)플란트치과의원
www.goeune.co.kr
 
고난이도 임플란트, 수술잘하는치과, 풍부한 경험, 양심적 진료, 공덕역7번출구
[1] 애당초 삼성전자서비스로 계열사로 분사된 배경이 삼성전자가 AS를 강조하면서 AS서비스의 질과 규모를 높이기 위해 설립되었다.[2] 청량리시장에 위치한 삼성화재 건물이 중앙센터라 조회되고 있다.[3] 14년 기준 본점이라도 카메라 수리는 다른 센터로 보낸다.[4] 대표적으로 삼성의 대규모 사업장이 있는 아산과 천안의 A/S 센터는 모두 직영이 아닌 외주로 전환되었고, 센터의 수도 크게 줄어들었다. 이 두 지역은 모두 인구가 성장세에 있고, 삼성 사업장 종사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도시이기 때문에 A/S 센터를 직영으로 유지할 여건이 되는 지역들이다.[5] 삼성전자서비스 산하 AS센터는 90% 가까이 외주로 운영된다. 다시 말해, AS센터에 가면 있는 대부분의 AS기사들은 정직원이 아닌 용역업체의 비정규직이라는 것.[6] 적어도 롯데리아 알바, 롯데시네마 알바는 아무리 계약직, 비정규직, 아르바이트라고해도 월급명세서는 끊어준다. 삼성전자서비스는 그런거 없다. 월급 명세서를 안 끊어주니 협력업체 사장들이 얼마를 떼먹는지도 알 길이 없다. 그래서 월급 명세서를 요구하면 경영권 침해라고 징계를 내린다.[7] 위장폐업 전술을 펴고 있는 듯 하다. 폐업으로 노동조합 조합원 수가 좀 줄어들고 와해된다 싶으면 슬쩍 다시 오픈하는 수법. 이렇게 폐업 크리를 맞은 센터가 많은 듯 하다.[8] 네이버 송곳(웹툰) 5부 1화의 모티브.[9] 2018년 5월 26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 1125회 방송분 "사라진 유골, 가려진 진실 - 故염호석 ‘시신탈취’ 미스터리" 편에서 다뤘다.[10] 발인식과 영결식에 안치된 유리병에는 전날 정동진 바닷가에서 담아 온 모래와 바닷물을, 빈 유골함에는 고인이 평소 착용하던 의복을 각각 담았다고 한다. 삼성측에 회유된 부친이 유골을 정동진에 뿌렸다고 지회 동료들에게 얘기했다고 한다.
성전자의 자회사이며 삼성전자에서 생산한 제품들에 대한 애프터 서비스를 담당하는 기업이다.

애프터 서비스를 담당하기때문에 대한민국 전국 각지에 삼성전자서비스센터를 만들어서 삼성전자 제품의 수리를 담당하는데, 일부 서비스센터에서는 삼성전자 제품을 직접 팔기도 하는 유통 채널의 역할도 한다. 2013년 1월 일산신도시에 개장한 일산센터라든가 보통 삼성스토어와 같이 있으며 지점에 따라 휴대폰 A/S만 가능한 곳도 있다. 휴대폰 A/S만 가능한 곳은 '휴대폰센터'라는 이름이 붙는다.

1998년 삼성전자에서 서비스사업부가 분사했으며, 분사한 지 얼마 안 된 2000년 이후로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서비스가 합병한다는 떡밥이 매번 나오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매우 불투명하다.[1] 이와 비슷한 떡밥으로 주식시장 기업공개 떡밥도 있지만, 이 역시 매우 불투명하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2]에 있는 서비스센터는 사실상 본점 격이라고 봐도 된다. 실제로 '신설동센터'가 아닌 '중앙센터'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3]

삼성전자 멤버십 블루 U-포인트 선불카드로는 유상수리비 결제시 U-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서비스센터에서 자재나 부품을 구입할 때에는 U-포인트를 사용할 수 없다.

2015년부터는 전사적인 경영합리화 조치에 따라 본사의 사무기구와 사무직원을 대폭 축소하고, A/S 센터도 거점-지역 방식으로 차등하여 거점만 직영으로 운영하고 그외의 지역 센터는 외주화하기로 했다. 이들 지역 센터는 삼성전자의 입장에선 밑도급의 밑도급, 즉, 재밑도급 관계가 된 것이다. 노조에서는 이런 조치가 노조 설립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실제 외주화되는 센터의 규모와 센터 인근의 인구 밀집도 등과 관계가 없다는 점[4]이 노조의 주장을 일부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기존 CS 프로의 업무 중 단순 사용법 상담 업무를 이관받은 갤럭시 컨설턴트 삼성스토어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삼성전자서비스 소속이 아닌 삼성스토어를 소관하는 삼성전자판매 소속이다.

SSD, SD 카드 등 저장장치 관련 서비스는 삼성전자서비스가 아닌 시머스라는 별도의 회사에서 운영하는 '삼성SSD전문센터'에 위탁되어 있다. 삼성전자서비스에 전화해도 저장장치 관련 상담은 불가능하며 070-8250-2646으로 연락해야 한다. 이들 제품을 삼성전자서비스 서비스센터에 가져가도 서비스가 거부되고 삼성SSD전문센터로 이관시켜서 처리해준다. 이렇게 메모리 관련 서비스가 분리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다.

2. CI[편집]



3. 대표이사[편집]

  • 박찬원 (1999 ~ 2003)
  • 맹윤재 (2003 ~ 2005)
  • 장형옥 (2005 ~ 2009)
  • 방인배 (2009 ~ 2010)
  • 윤승철 (2010 ~ 2013)
  • 박상범 (2013 ~ 2016)
  • 최우수 (2016 ~ 2019)
  • 심원환 (2019 ~ 2022)
  • 송봉섭 (2022 ~ 현재)

4. 노동자 처우 문제[편집]

무노조 경영이었던 삼성에서, 2013년 7월 AS기사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노동조합을(민주노총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 공식 출범시켰다. 이들은 일단 삼성전자 서비스의 정직원이 아니었던데다가,[5] 규모도 이전에 삼성에서 시도되었던 노동조합들보다 훨씬 대규모 노동조합이었던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AS 기사들의 처우란 것이 정말 답이 없는 수준인데, 월급제가 아닌 건당 수수료제이며, 점심값은 커녕 점심 시간도 없고, 차량, AS 공구 어느 하나 지원해 주지 않는다. 각자 자비로 구매하고 유지비를 내야 한다. AS에 각별히 신경을 쓰는 삼성전자다 보니 AS평가 때 고객을 우선으로 한다. 무조건 10점이 나오지 않으면 호된 질타와 이에 따른 반성과 소명을 해야 한다고 한다. 고객이 평가를 8점을 줬건 9점을 줬건 똑같다. 무조건 10점 아니면 얄짤없다. 또한 2016년 1월 당시 LG전자서비스도 같은 상황이라고 하며 프로불편러나 악질 고객 한명 만나는 순간 서비스 기사들도 답이 없는 순간이다.

또한 본사에서 직접 고용하지 않고 외주 용역으로 고용하면서 직원 교육은 삼성전자서비스에서 직접 하며, 협력업체 사장은 '바지사장' 취급을 받았다. 위장도급제로서 명백한 근로기준법 위반이다. 이런 사례가 수도 없었다. 이렇게 노동환경이 시궁창이다보니 2013년 9월에 칠곡센터 AS기사 조합원이 출근하다가 피를 토하고 뇌출혈로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을 정도다. 삼성전자서비스 AS기사들은 롯데리아 알바, 롯데시네마 알바보다 일이 더 힘들고 못 벌어 노동 환경도 시궁창이라고 한탄까지 할 지경이다.[6] 그래서 보다 못해 노동조합을 설립했다고 한다.

주5일제 40시간 근무를 표방하고 있지만, 서비스업무 성격상 주5일이 안되며, 센터마다 차이가 있지만 5일 + 6시간 정도는 초과근무를 한다. 중요한 건 아침에 출근해서 퇴근하기까지 11시간 동안 센터에 박혀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즉, 센터의 엔지니어들은 하루 11시간씩 55시간 + 6시간은 기본으로 일을 하는 것이다. 연차든 월차든 간에 내가 쉬고 싶은 날 쉬어야 하는게 당연하나, 너무 바쁜 날 혹은 쉬는 사람이 3~4명 몰린 날 등은 쉬지도 못한다. 근로 시간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견이 있다. 최대한 근로시간을 늘려 돈을 많이 받고자 하는 사람이 있고, 돈보다는 자기만의 시간을 찾으려는 사람이 있어 근로자끼리 서로 의견이 갈리는 부분이기도 하다. 은수미 민주통합당 의원 등도 삼성전자서비스 측의 위장도급 의혹을 제기됐다.

은 의원의 위장도급 의혹 제기에 대해 협력업체 대표들은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사 경영자 생존대책위원회'를 조직하며 즉각 반박했고, 노조 설립 후 조합원들에 대한 압박은 끊이지 않았다. 천안센터에서 근무하던 최종범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발생했다.# 생활고와 노동조합을 한다는 이유로 가해진 수많은 압박을 못 이겨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인다. 최씨는 곧 돌을 앞두는 딸을 두고 세상을 떠나 주위를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2014년 3월에는 노동조합 조합원이 많다는 이유로 멀쩡하게 잘 굴러가던 해운대센터를 폐업시켜 버렸다. 반발이 심하자 이번엔 아산센터, 이천센터까지 또 폐업시켜 버렸다.[7] 기존에 해운대센터가 받던 콜을 차로 1시간 반이 넘게 걸리는 통영센터에서 콜을 받아 출장하는 애로사항이 꽃피는 웃지 못할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이렇게 상당히 노사관계가 막장으로 치닫고 있는 중인데, 이런 형국인지라 센터 폐업으로 인해 피해 본 노동자들이 싸워왔다.

2014년 5월 17일 또 한 명의 자살자가 발생했다. 양산센터 분회장 염호석으로, 양산시에서 멀리 떨어진 강원도 강릉시의 길가에서 숨진채로 발견되었다. 노조측은 이를 열사정국으로 규정하고 대규모 파업에 들어갔다. 그리고 장례를 치르는 과정에서 시신을 둘러싸고 경찰과의 대치와 시신탈취가 있었다. 비리경찰[8][9]

2014년 6월 28일, 단체협약이 체결되고 노동자들의 파업이 마무리되었다. 단체협약이 체결되었다는 것은 사실상 노조를 협상의 상대로 인정한 것으로, 무노조 경영을 76년 간 해 온 삼성에서 단체협약이 체결된 것은 이번이 최초이며, 그리고 노조 측에서 미뤄오던 염호석의 장례는 7월 2일 마무리되어 양산시 솥발산 열사묘역에 안장되었다.[10]

2014년 10월, 진주삼성서비스센터의 직원들이 대량 해고되는 사태가 또다시 발생해 수리노동자들은 서비스센터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A/S 업무는 본사에서 내려온 삼성이동수리버스 5대에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각에선 A/S를 외주에 맡겨놓고 책임을 지지도 않는 지금의 제도를 갈아엎지 않으면 계속 비슷한 일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다.

2018년 4월 삼성전자는 삼성전자서비스 엔지니어들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킨다는 내용을 발표했으나, 9월까지 수십차례에 걸친 사측과 지회의 협상테이블에서 의견이 타협되지 않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2019년 1월 1일부터 본사 직원 7,800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되었다. 7월 2일에 검찰은 노조 와해 공작에 삼성전자가 주도했다는 직원 진술을 공개했다.

2022년 현재 정규직 전환 된 삼성전자서비스 직원들은 대부분의 대기업과 같은 급여 및 복리후생을 누리고 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해고자 문제는 해결이 안되었고, 2022년 5월 14일 해고 노동자 중 한 명이 자살하였다.

 
 
 
고난이도 임플란트, 수술잘하는치과, 풍부한 경험, 양심적 진료, 공덕역7번출구
[1] 애당초 삼성전자서비스로 계열사로 분사된 배경이 삼성전자가 AS를 강조하면서 AS서비스의 질과 규모를 높이기 위해 설립되었다.[2] 청량리시장에 위치한 삼성화재 건물이 중앙센터라 조회되고 있다.[3] 14년 기준 본점이라도 카메라 수리는 다른 센터로 보낸다.[4] 대표적으로 삼성의 대규모 사업장이 있는 아산과 천안의 A/S 센터는 모두 직영이 아닌 외주로 전환되었고, 센터의 수도 크게 줄어들었다. 이 두 지역은 모두 인구가 성장세에 있고, 삼성 사업장 종사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도시이기 때문에 A/S 센터를 직영으로 유지할 여건이 되는 지역들이다.[5] 삼성전자서비스 산하 AS센터는 90% 가까이 외주로 운영된다. 다시 말해, AS센터에 가면 있는 대부분의 AS기사들은 정직원이 아닌 용역업체의 비정규직이라는 것.[6] 적어도 롯데리아 알바, 롯데시네마 알바는 아무리 계약직, 비정규직, 아르바이트라고해도 월급명세서는 끊어준다. 삼성전자서비스는 그런거 없다. 월급 명세서를 안 끊어주니 협력업체 사장들이 얼마를 떼먹는지도 알 길이 없다. 그래서 월급 명세서를 요구하면 경영권 침해라고 징계를 내린다.[7] 위장폐업 전술을 펴고 있는 듯 하다. 폐업으로 노동조합 조합원 수가 좀 줄어들고 와해된다 싶으면 슬쩍 다시 오픈하는 수법. 이렇게 폐업 크리를 맞은 센터가 많은 듯 하다.[8] 네이버 송곳(웹툰) 5부 1화의 모티브.[9] 2018년 5월 26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 1125회 방송분 "사라진 유골, 가려진 진실 - 故염호석 ‘시신탈취’ 미스터리" 편에서 다뤘다.[10] 발인식과 영결식에 안치된 유리병에는 전날 정동진 바닷가에서 담아 온 모래와 바닷물을, 빈 유골함에는 고인이 평소 착용하던 의복을 각각 담았다고 한다. 삼성측에 회유된 부친이 유골을 정동진에 뿌렸다고 지회 동료들에게 얘기했다고 한다.

2. CI[편집]



3. 대표이사[편집]

  • 박찬원 (1999 ~ 2003)
  • 맹윤재 (2003 ~ 2005)
  • 장형옥 (2005 ~ 2009)
  • 방인배 (2009 ~ 2010)
  • 윤승철 (2010 ~ 2013)
  • 박상범 (2013 ~ 2016)
  • 최우수 (2016 ~ 2019)
  • 심원환 (2019 ~ 2022)
  • 송봉섭 (2022 ~ 현재)

4. 노동자 처우 문제[편집]

무노조 경영이었던 삼성에서, 2013년 7월 AS기사들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노동조합을(민주노총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 공식 출범시켰다. 이들은 일단 삼성전자 서비스의 정직원이 아니었던데다가,[5] 규모도 이전에 삼성에서 시도되었던 노동조합들보다 훨씬 대규모 노동조합이었던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AS 기사들의 처우란 것이 정말 답이 없는 수준인데, 월급제가 아닌 건당 수수료제이며, 점심값은 커녕 점심 시간도 없고, 차량, AS 공구 어느 하나 지원해 주지 않는다. 각자 자비로 구매하고 유지비를 내야 한다. AS에 각별히 신경을 쓰는 삼성전자다 보니 AS평가 때 고객을 우선으로 한다. 무조건 10점이 나오지 않으면 호된 질타와 이에 따른 반성과 소명을 해야 한다고 한다. 고객이 평가를 8점을 줬건 9점을 줬건 똑같다. 무조건 10점 아니면 얄짤없다. 또한 2016년 1월 당시 LG전자서비스도 같은 상황이라고 하며 프로불편러나 악질 고객 한명 만나는 순간 서비스 기사들도 답이 없는 순간이다.

또한 본사에서 직접 고용하지 않고 외주 용역으로 고용하면서 직원 교육은 삼성전자서비스에서 직접 하며, 협력업체 사장은 '바지사장' 취급을 받았다. 위장도급제로서 명백한 근로기준법 위반이다. 이런 사례가 수도 없었다. 이렇게 노동환경이 시궁창이다보니 2013년 9월에 칠곡센터 AS기사 조합원이 출근하다가 피를 토하고 뇌출혈로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을 정도다. 삼성전자서비스 AS기사들은 롯데리아 알바, 롯데시네마 알바보다 일이 더 힘들고 못 벌어 노동 환경도 시궁창이라고 한탄까지 할 지경이다.[6] 그래서 보다 못해 노동조합을 설립했다고 한다.

주5일제 40시간 근무를 표방하고 있지만, 서비스업무 성격상 주5일이 안되며, 센터마다 차이가 있지만 5일 + 6시간 정도는 초과근무를 한다. 중요한 건 아침에 출근해서 퇴근하기까지 11시간 동안 센터에 박혀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즉, 센터의 엔지니어들은 하루 11시간씩 55시간 + 6시간은 기본으로 일을 하는 것이다. 연차든 월차든 간에 내가 쉬고 싶은 날 쉬어야 하는게 당연하나, 너무 바쁜 날 혹은 쉬는 사람이 3~4명 몰린 날 등은 쉬지도 못한다. 근로 시간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이견이 있다. 최대한 근로시간을 늘려 돈을 많이 받고자 하는 사람이 있고, 돈보다는 자기만의 시간을 찾으려는 사람이 있어 근로자끼리 서로 의견이 갈리는 부분이기도 하다. 은수미 민주통합당 의원 등도 삼성전자서비스 측의 위장도급 의혹을 제기됐다.

은 의원의 위장도급 의혹 제기에 대해 협력업체 대표들은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사 경영자 생존대책위원회'를 조직하며 즉각 반박했고, 노조 설립 후 조합원들에 대한 압박은 끊이지 않았다. 천안센터에서 근무하던 최종범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발생했다.# 생활고와 노동조합을 한다는 이유로 가해진 수많은 압박을 못 이겨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보인다. 최씨는 곧 돌을 앞두는 딸을 두고 세상을 떠나 주위를 더욱 안타깝게 하고 있다.

2014년 3월에는 노동조합 조합원이 많다는 이유로 멀쩡하게 잘 굴러가던 해운대센터를 폐업시켜 버렸다. 반발이 심하자 이번엔 아산센터, 이천센터까지 또 폐업시켜 버렸다.[7] 기존에 해운대센터가 받던 콜을 차로 1시간 반이 넘게 걸리는 통영센터에서 콜을 받아 출장하는 애로사항이 꽃피는 웃지 못할 상황에까지 이르렀다. 이렇게 상당히 노사관계가 막장으로 치닫고 있는 중인데, 이런 형국인지라 센터 폐업으로 인해 피해 본 노동자들이 싸워왔다.

2014년 5월 17일 또 한 명의 자살자가 발생했다. 양산센터 분회장 염호석으로, 양산시에서 멀리 떨어진 강원도 강릉시의 길가에서 숨진채로 발견되었다. 노조측은 이를 열사정국으로 규정하고 대규모 파업에 들어갔다. 그리고 장례를 치르는 과정에서 시신을 둘러싸고 경찰과의 대치와 시신탈취가 있었다. 비리경찰[8][9]

2014년 6월 28일, 단체협약이 체결되고 노동자들의 파업이 마무리되었다. 단체협약이 체결되었다는 것은 사실상 노조를 협상의 상대로 인정한 것으로, 무노조 경영을 76년 간 해 온 삼성에서 단체협약이 체결된 것은 이번이 최초이며, 그리고 노조 측에서 미뤄오던 염호석의 장례는 7월 2일 마무리되어 양산시 솥발산 열사묘역에 안장되었다.[10]

2014년 10월, 진주삼성서비스센터의 직원들이 대량 해고되는 사태가 또다시 발생해 수리노동자들은 서비스센터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A/S 업무는 본사에서 내려온 삼성이동수리버스 5대에서 처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각에선 A/S를 외주에 맡겨놓고 책임을 지지도 않는 지금의 제도를 갈아엎지 않으면 계속 비슷한 일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다.

2018년 4월 삼성전자는 삼성전자서비스 엔지니어들을 정규직으로 전환시킨다는 내용을 발표했으나, 9월까지 수십차례에 걸친 사측과 지회의 협상테이블에서 의견이 타협되지 않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2019년 1월 1일부터 본사 직원 7,800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되었다. 7월 2일에 검찰은 노조 와해 공작에 삼성전자가 주도했다는 직원 진술을 공개했다.

2022년 현재 정규직 전환 된 삼성전자서비스 직원들은 대부분의 대기업과 같은 급여 및 복리후생을 누리고 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해고자 문제는 해결이 안되었고, 2022년 5월 14일 해고 노동자 중 한 명이 자살하였다.

 
 
고난이도 임플란트, 수술잘하는치과, 풍부한 경험, 양심적 진료, 공덕역7번출구
[1] 애당초 삼성전자서비스로 계열사로 분사된 배경이 삼성전자가 AS를 강조하면서 AS서비스의 질과 규모를 높이기 위해 설립되었다.[2] 청량리시장에 위치한 삼성화재 건물이 중앙센터라 조회되고 있다.[3] 14년 기준 본점이라도 카메라 수리는 다른 센터로 보낸다.[4] 대표적으로 삼성의 대규모 사업장이 있는 아산과 천안의 A/S 센터는 모두 직영이 아닌 외주로 전환되었고, 센터의 수도 크게 줄어들었다. 이 두 지역은 모두 인구가 성장세에 있고, 삼성 사업장 종사자들이 많이 거주하는 도시이기 때문에 A/S 센터를 직영으로 유지할 여건이 되는 지역들이다.[5] 삼성전자서비스 산하 AS센터는 90% 가까이 외주로 운영된다. 다시 말해, AS센터에 가면 있는 대부분의 AS기사들은 정직원이 아닌 용역업체의 비정규직이라는 것.[6] 적어도 롯데리아 알바, 롯데시네마 알바는 아무리 계약직, 비정규직, 아르바이트라고해도 월급명세서는 끊어준다. 삼성전자서비스는 그런거 없다. 월급 명세서를 안 끊어주니 협력업체 사장들이 얼마를 떼먹는지도 알 길이 없다. 그래서 월급 명세서를 요구하면 경영권 침해라고 징계를 내린다.[7] 위장폐업 전술을 펴고 있는 듯 하다. 폐업으로 노동조합 조합원 수가 좀 줄어들고 와해된다 싶으면 슬쩍 다시 오픈하는 수법. 이렇게 폐업 크리를 맞은 센터가 많은 듯 하다.[8] 네이버 송곳(웹툰) 5부 1화의 모티브.[9] 2018년 5월 26일 SBS <그것이 알고싶다> 1125회 방송분 "사라진 유골, 가려진 진실 - 故염호석 ‘시신탈취’ 미스터리" 편에서 다뤘다.[10] 발인식과 영결식에 안치된 유리병에는 전날 정동진 바닷가에서 담아 온 모래와 바닷물을, 빈 유골함에는 고인이 평소 착용하던 의복을 각각 담았다고 한다. 삼성측에 회유된 부친이 유골을 정동진에 뿌렸다고 지회 동료들에게 얘기했다고 한다.

 
 

외장(단품)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ODD(Optical Disc Drive) 서비스 안내
  • 삼성전자 컴퓨터(노트북, 데스크탑 PC)에 기본 내장되어 판매되는 제품과 외장(단품)으로 판매되는 제품의 서비스센터는 다릅니다.
외장(단품) HDD
  • 삼성 HDD 전문센터 : 070-4351-3333
  • 시게이트 HDD 전문센터 : 080-579-0880
외장(단품) SSD
  • 기술문의 및 상담 : 1588-3366
  • 삼성 SSD 전문센터 : 070-8250-2646
외장(단품) ODD
  • 삼성 ODD 전문센터 : 070-4351-3330
메모리 서비스센터

삼성 메모리 제품 A/S를 전문으로 담당하는 센터입니다.

자세히보기
반응형
Comments